스터디 진행 일시
날짜 : 7월 11일 (금요일) 시간 : 오후 6시 ~ 9시 (3시간) 장소 : 강남 (오프라인)
🔧 금주 스터디 일정
- 개발 책 11장 - 뉴스 피드 시스템 설계
- MCP 개념 정리, CSS의 조건 처리(if)
- 라이브 코테 진행
📖 개발 책 11장
- 11장
- 11장은 뉴스 피드 시스템 설계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다.
- 뉴스 피스란 무엇일까 ?
- 인스타그램, 페이스북, 트위터(X)와 같은 앱처럼 홈 페이지 중앙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게시물로, 사진, 영상, 팔로우하는 사람들 등 다양한 콘텐츠의 목록을 말한다.
- 뉴스 피드는 피드 발행과 피드 생성의 두 가지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.
- 피드 발행 : 사용자가 스토리를 포스팅하면 해당 데이터를 캐시와 데이터베이스 에 기록한다. 새 포스팅은 친구의 뉴스 피드에 전송한다.
- 피드 생성 : 사용자가 자신의 홈 피드를 열었을 때, 어떤 콘텐츠를 보여줄지를
결정하는 부분이다.
- Pull 모델 : 사용자가 피드를 요청하면 실시간으로 팔로잉한 사용자들의 최신 게시물을 DB/캐시에서 가져와 정렬한다.
- Push 모델 : 피드 발행 시점에 미리 해당 콘텐츠를 모든 팔로워의 피드에 추 가해 놓는다.
- 악의적인 사용자가 짧은 시간 안에 수십, 수백 개의 게시물을 반복해서 올릴 경우
서버는 과부하에 빠질 뿐만 아니라 다른 유저들의 경험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잇기
때문에 스팸성 게시물, 유해한 콘텐츠 등을 막기 위해 처리율 제한을 두는 것이
좋다.
-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분당 또는 시간당 업로드할 수 있는 게시물 수 제한을 둘 수 있다.
MCP에 대해 알아보자
🙌 준호님의 작은 세미나 🙌
- MCP는 Model Context Provider의 약자로, 이름 그대로 LLM이나 AI모델이 동작하는데
필요한 “문맥(Context)를 구성하고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.
- 여기서 말하는 Context는 AI가 더 잘 이해하고 동적할 수 있게 도와주는 배경 정 보를 말한다.
- MCP로 할 수 있는 일은 뭐가 있을까 ?
- 인사 정책 질의 응답 / 메뉴얼 자동 생성 / QA 테스트 등 무궁무진하다.
- 현재 나와 있는 MCP Servers 목록들 → https://mcpservers.org/
- 다음주나 시간될 때 함께 MCP 구현을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.
CSS의 조건 처리
🙌 소영님의 작은 세미나 🙌
사실 요즘은 CSS를 쓰진 않는다. 직접 CSS를 작성하기 보다는 Tailwind CSS 같은 유틸 리티 퍼스트(Utility-first) 프레임워크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. 이러한 변화속에 CSS에도 큰 변화가 생겼는데, 바로 if() 문을 도입한 것이다.
웹 개발의 진화의 흐름 속에서 CSS도 발전이 필요해지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.
- 이런식으로 CSS에서도 이제 if문을 사용할 수 있다. →
https://developer.chrome.com/blog/if-article?hl=ko
- JS 의존도도 줄이고, 성능/보안 문제 해결이나 컴보넌트 내부에서 동적 스타일 제 어를 이제 할 수 있다.
💻 라이브 코테
- 문제 : https://leetcode.com/problems/design-linked-list/
- 제한 시간 내 최대한 풀어풀기.